다이어트 약물 유형별 부작용 정리 –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은 위험

체중 감량, 약물에만 의존할 수 있을까?

비만은 단순한 외형의 문제가 아니라, 당뇨병·심혈관질환·지방간 등 다양한 합병증과 연결되는 심각한 건강 문제다. 최근 몇 년 사이 다이어트 약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며, 일부 약물은 실제로 체중 감량 효과가 입증되어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. 그러나 모든 약물은 기전별로 다른 부작용을 동반하며, 장기적으로는 신체 건강에 부담을 줄 수 있다. 체중 감량만을 목표로 약물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. 본 글에서는 현재 사용되거나 연구되는 주요 다이어트 약물 유형별 부작용을 정리한다.


1. 식욕억제제 (Appetite suppressants)

대표 성분: 펜터민(phentermine), 로카세린(lorcaserin, 일부 국가 사용 중단)

다이어트 약물 유형별 부작용 정리 –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은 위험

  • 작용 원리: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포만감을 높이고 식욕을 줄인다.
  • 주요 부작용: 불면, 불안, 심박수 증가, 혈압 상승. 일부는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장기 위험: 심혈관계 부담. 로카세린은 발암 가능성 우려로 시장에서 철수되기도 했다.

2. 지방흡수 억제제 (Fat absorption inhibitors)

대표 성분: 올리스타트(orlistat)

  • 작용 원리: 소장에서 지방분해효소(리파아제)를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.
  • 주요 부작용: 지방이 분해되지 못해 대변으로 배출되면서 설사, 기름진 변, 잦은 배변, 복부 경련이 발생한다.
  • 장기 위험: 지용성 비타민(A, D, E, K) 결핍 위험. 일부 환자에서는 간 손상 보고도 있다.

3. GLP-1 수용체 작용제 (GLP-1 receptor agonists)

대표 성분: 리라글루티드(liraglutide), 세마글루타이드(semaglutide, 위고비 Wegovy), 티르제파타이드(tirzepatide, 마운자로 Mounjaro)

  • 작용 원리: 인크레틴 호르몬(GLP-1)을 모방해 포만감을 높이고 위 배출을 지연시킨다.
  • 주요 부작용: 구역, 구토, 설사, 변비 등 소화기계 증상이 흔하다.
  • 장기 위험: 일부 환자에서 췌장염, 담낭 질환 위험 보고. 장기 안전성은 계속 연구 중이다.

4. 카페인·에페드린 계열 자극제

대표 성분: 카페인, 에페드린(현재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 제한)

  • 작용 원리: 교감신경을 자극해 대사율을 높이고 열 발생(thermogenesis)을 촉진한다.
  • 주요 부작용: 불면, 불안, 손 떨림, 심계항진. 고혈압 환자에게 위험하다.
  • 장기 위험: 심혈관질환, 뇌졸중 위험 증가. 특히 에페드린은 안전성 문제로 여러 나라에서 판매 금지.

5. SGLT2 억제제 (일부 당뇨병 약물의 체중감량 효과 활용)

대표 성분: 다파글리플로진(dapagliflozin), 엠파글리플로진(empagliflozin)

  • 작용 원리: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해 소변으로 배출시키면서 체중 감소를 유도한다.
  • 주요 부작용: 소변으로 당이 배출되면서 요로감염, 생식기 감염이 증가.
  • 장기 위험: 탈수, 케톤산증 위험. 비당뇨 환자의 체중 감량 목적으로는 아직 안전성 연구 부족.

6. 한방·건강보조제 기반 약물

대표 성분: 카테킨(녹차 추출물), 가르시니아 캄보지아, 고카페인 보조제

  • 작용 원리: 대사 촉진, 지방 합성 억제 등 다양한 기전이 제안되지만 임상 근거는 제한적.
  • 주요 부작용: 위산 분비 증가, 불면, 간 독성 보고 사례 존재.
  • 장기 위험: 성분 함량 표기가 불명확한 경우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. 특히 간 손상 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있다.

7. 복합 요법의 위험성

실제 임상에서는 단일 약물보다 복합 처방이나 건강보조제와의 병용이 흔하다. 그러나 이는 부작용을 배가시킬 수 있다. 예를 들어 식욕억제제와 카페인 계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심혈관 부담이 커지고, 지방흡수 억제제와 고지방 식단을 병행하면 소화기계 부작용이 극심해진다.


결론: 약물은 보조 수단일 뿐, 관리의 중심은 생활 습관

다이어트 약물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체중 감소에 도움을 주지만, 모든 약물은 잠재적 부작용을 가진다. 특히 장기 복용 시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약물도 많다. 따라서 약물은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일 뿐, 기본은 식습관 개선과 운동이다. 전문가와의 상담을 거치지 않은 무분별한 복용은 체중 감량보다 더 큰 건강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.